본문 바로가기
전체 게시글

전문대로 대기업취업해 7년차인데 진급이 안되요

@ 모든 회원분들께
안녕하세요 모 대기업 7년차 입니다
전문대졸로 운좋게 전문대 우대채용으로 입사한 케이스 예요 처음 입사할땐 2년만 있으면 4년대 사원과 같은 직급으로 된다는 말을믿고 7년째 근무하고 있지만 제자리 걸음 처음엔 as,cs업무맡다가 시스템설계 pm도 수행해 경력을 쌓았으나 회사의 미래성장에 필요한 제품 as를 하고있습니다 출장도 잦고 처음하는 업무이지만 경력은 7년차 이니 주위에서 기대하니 어떻게든 업무수행을 하고있으나 현실은 넓고 얕게 배운 지식으로 겨우겨우 적응하여 힘겹게 살고있네요
부서내에 가장먼저 출근해 가장늦게 퇴근하지만 연봉은 올해 입사한 막내보다 적은급여...
팀장은 계속 진급될꺼다 라는 말만 하고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저처럼 전문대졸로 대기업에 취직한 분들 상황어떠신가요?
*최대 1개 ( jpg, png, gif만 가능 )
0/1000자
  • 저랑 비슷한 케이스네요.
    옛날 생각 납니다.
    저도 특채로 대기업에 4년제 입사자와 동일하게 입사하여 2년만 지나면 똑 같다는 말을 듣고 직장생활을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현실의 벽은 더 높았고 열심히 노력해도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며 회사를 다니며 4년제 대학을 야간으로 다시 다녀 졸업했습니다.
    4년제를 나와도 같은 회사를 다니기 때문에 특별히 대우가 좋아지진 않아 11년 근무하고 희망퇴직시기에 위로금 챙겨서 탈출하고 타회사(대기업) 경력직으로 옮겨 경력에 비해 직급은 낮으나 4년제 졸업생과 동일하게 대우 받고 있습니다.
    밑바닥 생활부터 다져진 경험으로 동년배 동료에 비해 업무능력도 인정받아 자존감 높게 직장생활하고 있습니다.
    야간이나 사이버대학으로 4년제 학사은 꼭 취득하셔서 이직하시길 추천드립니다.
    대한민국 사회 아직까지 능력보다는 학벌위주의 사회이다 보니 직장생활 계속 하시거면 명문대 졸업은 아니더라도 학사는 있어야 부장까지는 진급할 수 있습니다.
    5suzt0mMfQLn4DG 님이 2021.02.04 작성
  • 재직자 전형의 야간대라도 편입해서 졸업하고 회사에 말해보세요.
    그래도 승진 안해주면 학사학위 있는 상태에서 동종업계로 이직하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DG8XNS61oc9FkPY 님이 2021.02.04 작성
  • 정말 현실적인 답은 그냥 알박기 하여 버티는게 맞다고 생각됩니다. 좀더 시간이 지난 10년차 쯤 후 중견으로 이직하시는게 좋을 것 같네요.

    이게 현실입니다. 블라인드나 특채나 해서 기업이미지 살릴려고 고졸.전졸 채용해놓고 그냥 계속 내버려두는 것이죠.

    이게 현실적인 국내 기업의 형태이며, 오랫동안 이어져온 악습이라 하면 악습이겠지만, 규율에 가까운 것으로 되어있죠.

    문재인정권이 출범하면서 대기업 1차 하청업무 하시던 분들 인원 50% 이상 정리하고 대기업으로 흡수 되면서 무늬만 대기업 이지, 연봉이나 근로는 똑같습니다.
    파업하고 투쟁한다고 해서 말이 많으니 호칭을 선임.책임.파트장으로 변경해주고 또 똑같은 연봉에 복지에 근로환경을 가지고 일을 하잔아요.

    이게 현실입니다. 자기가 있어야 할 곳은 자기가 더 잘 아는 것이지요. 괸히 내가 있을 곳이 아닌 우물에서 좌정지와 우물안개구리가 되는 것이지요.

    내가 있을곳에서 물만난 고기처럼 일하는 것이 오히려 더 현명하다고 생각됩니다.

    뭘 어찌어찌 할 수 있는 희망따위 글 들은 자기도 해보지 않고 경험하지도 실천하지도 않았으면서 떠들어 되는건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결론은 조금더 버틴 후 중견으로 내려오세요.
    oq9ZzRlpn7eCDtB 님이 2021.02.04 작성
  • 댓글이 삭제되었습니다
  • 학력보다 능력을 더 인정해주는 회사로 이직을 권유합니다.
    PVdYkzWs1hAMCSW 님이 2021.02.04 작성
    혹시 그런 회사들이 있나요?
    D99SJFD4DMup8D3 님이 2023.02.25 작성
목록
이 글과 비슷한 글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