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게시글

중소기업 물류팀 사무직 VS 물류센터 현장직(지게차)

@육상운송,물류관리,유통관리 경력자분들께
안녕하세요 3PL, 풀필먼트 중견,대기업에 입사를 목표를 하는 20대 후반 취준생입니다.

부끄럽게도 뒤늦게 정신을 차리고 진로를 정하게 되어 늦은 나이에 공부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졸업 후 지방대 상경계 학점3.3, 토익 930점, 대외활동,인턴, 알바 경험 X라는 별 볼일 없는 스펙밖에 없어서

올해 보세사, 물류관리사, 지게차운전기능사, 유통관리사2급, 원산지관리사, 무역영어1급을 취득을 했습니다.

자격증을 취득하고 입사 지원서를 쓰려고하니 직무 관련 경험이 전무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래서 늦었지만 6개월에서 1년 정도라도 직무 관련 경험을 쌓고 싶은데 현재 물류기업 인턴 공고도 없고 경제적인 문제도 있고 해서

중소기업 물류팀(사무직)이나 물류센터 현장직(지게차)으로 근무하기로 선택했는데요

둘 중 어느쪽에서 근무하는 것이 나중에 재취업을 할 때 더 좋은 경험을 얻을 수 있을지 궁급합니다.

물류기업 현직자 선배님들의 조언이 절실합니다.
*최대 1개 ( jpg, png, gif만 가능 )
0/1000자
  • 모든 업무에 기본은 현장입니다. 현장을 알아야 사무업무 및 기획업무를 할 수가 있습니다. 제 소견으로는 현장업무를 하시면서 현장에 대해 공부하시는 것이 좋을 듯 싶습니다. 현장 일을 하시면서 항상 개선점을 고민하시고, 스스로 능력을 높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tTosxXnW6jYPWdO 님이 2020.12.07 작성
  • 안녕하세요 첫직장이 중요한데 많이 고민되시겠네요 경험적인 측면에서는 현장+사무 다필요하다고 보지만
    사무직으로 첫발을 딛는게 더 좋을 듯 하네요 현장은 각 물류회사 어디든 있으니 사무직으로 가셔도
    님이 원하시면 현장경험도 하실수 있을 거라고 생각됩니다.
    왠만하면 그래도 어느정도 규모있는 데로 가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OeGnrTATAL2bosS 님이 2020.12.07 작성
  • 안녕하세요 현재 2년째 중견기업에서 근무를 하고 있는 재직자입니다. 중소기업 물류팀(사무직)이나 물류센터 현장직(지게차)으로 고르신다면, 저는 무조건 중소기업 물류팀에서 근무하시라고 조언드리고 싶습니다. 한 2년정도 경력이 생기신다면, 외국으로 가시면 최고의 대우를 받고 가실 수 있습니다. [현재 저도 해외 근무중이며, 3년경력을 채운뒤, 대기업 물류 해외법인으로 이직 희망중]
    L90HJtwAsKQ1LlG 님이 2020.12.05 작성
  • 플필먼트쪽이 목표라고 한다면 관련된 회사로 지원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입사하시고자 하는곳이 쿠팡이나 컬리 쪽 아닌가 싶네요
    다만 보세사자격증과 무역영어 따셨고 영어회화가 된다면 포워더직종과 밀접한데 관련 회사에 입사해도 좋을듯 하네요
    물류쪽에서 19년차 경험이 있습니다.
    관련 질문에 도움이 되셨음하고 얘기해드리자면
    사무직과 현장 관련 밑에 댓글들중 현장에선 배울게 없다라든지 사무직이 훨씬 낫다라든지 그러는데
    제 경험상은 둘다 필요합니다.
    현장경험없이 사무업무를 하기엔 현장파악을 제대로 못해 관리하기가 힘듭니다.
    간단한 예로 입출고 관련 화물들의 물동량의 유동량도 제대도 파악이 되질않는데 진행을 어떻게 하냐는 거겠죠
    현장업무를 잘한들 시스템관련 무지하다면 그것초차 업무가 안되겠지요
    입출고.반품등 재고관련 시스템을 관리못한다면 도루묵일테구요
    지게차업무를 우습게 보시는 분들 많은데
    인명피해와 화물에 대한 재산피해가 항상 따르는
    업무이기에 어려운 업무입니다.
    반복단순 작업이라 생각하는데 정말 우스운 얘기죠
    나중에 경험이 되신다면 직접 깨달을거예요
    안전관련 상황 하나도 안지켜지고 자격증조차 없이 운전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목표를 두신 회사에 꼭 입사하시길 바랍니다
    fbvANmb2fZaxC5m 님이 2020.12.03 작성
  • 물류관리사 유통관리사 원산지관리사 보니깐
    딱 제 모습을 본거같네요
    다른 글들 보니깐 물류 무시하던데
    최근의 업계가 콜드체인 사업에 뛰어드려고 노력한 만큼
    미래에 물류는 더 커질것입니다.
    물류 전문가라고 라면 물류기획자를 뜻합니다
    단순 물류관리자는 정말 단순합니다
    보통 테크가 물류관리자 1~2년( 솔직히 1년이면 충분) 그다음 물류기획자 또는 물류전략가로 전직합니다
    잘 경력 가꾸면 40세 이전에 연봉 1억도 가능합니다
    물류전문가는 재고를 줄이는 전문가와 물류경로를 수립하는 전문가와 물류창고를 만들고 업그레이드하는 전문가 등이 있습니다. 대신 중견이상의 물류기업에 취직해서 기획자로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SaszIGrgNZangWi 님이 2020.12.03 작성
목록
이 글과 비슷한 글이에요!
  • 언론사 파견직은 어떠세요?
    자세히 보기
  • 정년퇴직자의 경험활용
    자세히 보기
  • 지게차 경력을 쌓고 싶은데 너무 걱정입니다.
    자세히 보기
  • 신입인데 경험을 어떻게 쌓아야할지..
    자세히 보기
  • 이력서 경력란 경험란 고민
    자세히 보기
  • 물류직 vs 레미콘 품질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