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게시글
PICK

금융권 취업 꿀팁, 취업 멘토에게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 모든 회원분들께


은행과 보험사에서 근무했습니다. 은행 취업/서류/면접 여신심사 및 투자심사 업무와 금융자격증 취득에 대해 궁금한 점을 해결해 드립니다.

* 취업멘토 소개
닉네임 _ 고**더
현) XX생명 재직
전) XX은행 근무

안녕하세요. 은행과 보험사에서 근무한 ‘고**더’ 입니다. 

저는 주로 여신과 투자심사 업무를 경험했고 관련된 주제로 이번에 멘토 활동을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2007년 시중은행에서 직장생활을 시작하였습니다. 오랜기간 은행에서 근무하였고 대부분의 시간 동안 기업여신 심사 업무를 주로 담당하였습니다.
은행에서 근무하는 동안 ‘Saladent’ 되기 위해 노력하였고 업무와 공부를 병행하며 국제 FRM, CDCS, 여신심사역, CRA, 국제금융역, 신용분석사 등의 자격증을 취득하였습니다. 

2018년에는 회사 지원으로 영국에서 MBA 생활도 경험했습니다. 2020년부터 현재까지 여신심사 관련 상호금융권 종사자를 대상으로 대외 교육 역시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3년에는 회사채 투자에 대한 관심이 생겨 40대의 늦은 나이이지만 이직을 결심하였고 좋은 직장에서 현재 근무하고 있습니다. 

역시 기업 분석 업무를 주로 담당하고 있으며 동시에 신종 금융상품에 대한 투자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투자심사 업무를 수행중입니다. 이러한 저의 경험을 바탕으로 아래와 같은 주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보면 좋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

* 답변 가능 주제
- 은행 및 보험사 입사에 대한 기본적인 Advice
- 금융업 특수 업무직인 ‘심사역’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 (진입경로 및 준비과정, 관련 자격증 및 준비기간, 심사 잘하는 노하우 공유 등)
- Saladent 가 되기 위한 준비물, 조건 등 기타
- 해외 MBA 준비과정 및 유용성
- 30대 후반 ~ 40대 초반 금융권 이직 전략

커뮤니티에 등록하기 어려운 내용이나 조금 더 이야기를 원하신다면 사람인 멘토링매치를 통해 신청해 주세요. :)
※ 멘토링매치 첫 이용 무료 쿠폰 받기 : https://mentor-match.saramin.co.kr/event/newMembersCoupons/







*최대 1개 ( jpg, png, gif만 가능 )
0/1000자
  • 안녕하세요. 저는 금융권 메인 직군은 아닌 IT 계열 기획 종사자인데요. 은행 및 보험사에서 포지션 제안이 올 때 항상 계약직으로 조건이 오더라고요. 주변 금융권 다니는 친구들에게 물어보면 공채가 아닌 이상 경력직은 무조건 계약직으로 가고 그 계약을 연장하는 형태라고 들었는데, 이게 사실인가요? 경력직도 정규직으로 제안하는 경우가 많은지 궁금하고, 없거나 적다면 유독 금융권은 경력직 = 계약직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프로_잠만보 님이 2024.05.22 작성
    혹시 IT 관련된 직군만의 특성인지도 궁금합니다. 그리고 타 산업에서 금융권으로 이직 시에 미리 준비해두면 좋을 것들도 가볍게 한번 공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프로_잠만보 님이 2024.05.22 작성
    이건 IT 직군만의 특성입니다. 더군다나 경력직으로 IT 직군을 뽑는 경우라면 더더욱 정규직이 아닌 계약직 형태로 채용을 하게 됩니다. IB 직종도 계약직 형태가 많습니다. 다만 제 경험상 질문주신분께서 큰 실수 없이 업무를 진행하시면 왠만하면 계약 연장은 어렵지 않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동시에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사례도 꽤 많은걸로 기억합니다. 타산업에서 금융권으로 이직시에는 직종이 IT라고 하더라도 금융 관련 소소한 자격증을 취득해 놓으시는 게 도움이 되실거라고 판단됩니다. 가끔보면 IT 쪽 업무 능력만 믿고 금융쪽 지식은 전혀 없이 지원하시는 분이 계십니다. 그래서는 다른 지원자랑 차별성을 띌수가 없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참고하시면 좋을 듯! ^^
    sGQlP7lEoMEbWQh 님이 2024.05.24 작성
  • 안녕하세요. 40대는 커리어를 어떻게 가져가는 것이 좋은 방향일까요? 안정성도 무척 중요하지만 커리어 성장이나 향후 기회 측면에서 어떤 부분을 고민하셨는지 궁금합니다.
    프로_스타트업사업개발 님이 2024.05.21 작성
    매우 고민하게 만드는 댓글이네요. ^^; 40대의 커리어 관리는 결국 '직장'이 아니라 '직종'에 있고 생각합니다. 내가 하고 싶은 일보다는, 내가 잘할수 있는 일이 무엇일까를 고민해야 하는 시기가 40대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그래서 은행에서 은행으로의 이직이 아닌, 은행에서 보험사로의 이직을 선택했습니다. 같은 업종이 아니더라도 제가 할 수 있는 일은 변함없는 곳이 이곳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현재까지는 만족하며 잘 다니고 있습니다. ^^
    sGQlP7lEoMEbWQh 님이 2024.05.24 작성
    @sGQlP7lEoMEbWQh 중요한 말씀이시네요. 앞으로 할 수 있는 일에 대해서 고민을 해보겠습니다.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프로_스타트업사업개발 님이 2024.05.24 작성
  • 해외MBA 경험이 금융권 내에서 승진이나 이직에 유리한 점이 있나요? 어떤 이점이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4GW6IsY0fVvbFoM 님이 7일 전
    승진에서는 딱히 유리한 점은 없었습니다. 다만 이직할때는 확실히 어필이 더 된다고 할까요? 늦은 나이에도 자기 개발에 진심이구나 하는 걸 면접관들이 인정해주는, 그런 느낌을 지원자 입장에서 받았던 것 같습니다. 그외의 이점이라고 한다면, 글쎄요. 무엇보다 직장이나 더 넓게는 삶을 대하는 자세가 달라졌다는 것이 있겠네요. 저는 가족과 함께 늦은 나이에 유학생활을 해서 그런지 공부외에도 챙겨야 하는 것들이 상당해서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그런데 그런 어려움들을 몸소 경험하고 나니, 내가 극복하지 못할 것이 없다 라는 일종의 자신감이 생긴 것 같아요. 그게 해외 MBA를 경험하면서 체득한 가장 큰 이점이 아닐까 싶네요. ^^
    sGQlP7lEoMEbWQh 님이 7일 전
  • 은행 취업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경영학부 대학생입니다. 자격증 취득부터 준비하려고 하는 자격증 관련 답변은 아래에서 확인 했습니다. 지금 대학생입장에서 준비해야할 건 자격증 외에 또 무엇이 있을까요? 대외 활동이나 인턴 활동을 추천하시나요?
    yxOB7i01tasNaRT 님이 7일 전
    일단 인턴 활동 추천합니다. 문제는 인턴 합격하는 과정이 쉽지 않은 것 같더군요. 가능하다면 인턴 경험을 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다만 본인이 취업하고자 하는 곳 한 두곳의 회사를 타겟팅 해서 진행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대외 활동도 필요는 하지만 자격증이나 인턴 활동과의 우선 순위를 따진다면 조금 뒤로 쳐진다고 생각합니다.
    sGQlP7lEoMEbWQh 님이 7일 전
  • 금융권도 어학이 많이 중요한가요? 수능 때부터 영어가 늘 장벽이었습니다. 보통 어떤 어학시험 성적을 준비하나요?
    183zm4xwMCM3ZJf 님이 7일 전
    이건 금융권 중에서 글 쓰신 분이 주로 Targeting 하는 곳이 어디인가에 따라 다릅니다. 영업점 근무가 대부분인 은행 공채라면 영어는 그리 중요한 포인트가 아닙니다. 영업점 근무가 대부분인 곳에서 영어를 사용할 기회를 잡는 것 조차 쉽지 않을 거라는 점을 감안할 때, 영어보다는 자격증 취득에 올인하는게 좋아 보입니다. 다만 보험사나 증권사, 캐피탈사 같은 투자 금융 전반을 Targeting 한다면 영어는 중요합니다. 저 나이 40인대도 여전히 영어 공부하고 있습니다. ^^: 영어를 못한다고 일에 지장 있거나 하는 것은 아니지만, 더 좋은 기회를 갖게 되는 건 분명한 거 같습니다. 어학 시험 성적은 보통 토익이나 오픽이 대세인 거 같습니다만, 솔직히 토익 성적이나 오픽 성적이 월등하다고 해도, 실제 회화 능력이 딸리면 이런 영어 점수는 거의 무쓸모입니다. 요새는 하도 영어 잘하는 사람이 많아서 면접관이 한 두 문장 던져보고 답변 들으면 다 감이 옵니다. 이 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sGQlP7lEoMEbWQh 님이 7일 전
목록
이 글과 비슷한 글이에요!
  • 중소기업 ~ 대기업 섭렵하며 연봉을 1.5배 상승시킨 비법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자세히 보기
  • 이직고민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