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업뉴스

기업 10곳 중 8곳, 직원 국어 능력 불만족!

 

 

 

 

국어 능력은 대부분의 업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기본으로 갖춰야 하는 능력이다그러나 기업 10곳 중 8곳 이상은 재직 중인 직원들의 국어 능력에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김용환)기업 260개사를 대상으로직원 국어 능력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83.8%가 재직 중인 직원들의 국어 능력에불만족 한다고 답했다.

직원들의 국어 능력 중 불만족하는 부분은작문 능력’(38.1%, 복수응답) 1위였으며, 근소한 차이로어휘력’(37.3%)이 뒤를 이었다. 다음으로논리력’(33.5%), ‘맞춤법’(30.4%), ‘경청 태도’(26.9%), ‘말하기/듣기 능력’(26.2%), ‘독해(문해)’(19.6%) 등의 순이었다.

업무와 관련된 국어 능력 중 불만족하는 부분으로는보고서/기획안 등 문서 작성 능력’(65%, 복수응답)을 첫 번째로 꼽았다. 계속해서대면 보고 등 구두 의사소통 능력’(39.6%), ‘이메일 등 활자 소통 능력’(24.6%), ‘회의/토론 능력’(21.9%), ‘전화 의사소통 능력’(16.5%), ‘프레젠테이션 능력’(13.1%) 등을 들었다.

기업들은 직원들의 연령대에 따라 국어 능력에도 다소 차이가 있다고 느끼고 있었다.
전체 기업들이 직원들의 국어 능력에 대한 평균 만족도 점수는 40(75.3), 50대 이상(73), 30(72.4), 20(65.2) 순으로, 상대적으로 젊은 연령대의 직원들에 대한 만족도 점수가 낮았다.

실제로 기업의 절반(45.4%) 가량은 20~30대 직원들이 이전 세대보다 국어 능력이 낮다고 밝혔다. 48.5%비슷하다고 답했으며, ‘오히려 높다는 응답은 6.2%에 그쳤다.

20~30
대 직원들의 국어 능력이 이전 세대보다 낮은 원인으로는메시지로 단문 위주 의사소통’(68.6%, 복수응답)활자보다 영상 위주로 콘텐츠 소비’(62.7%)로 보는 시각이 우세했다. 이밖에독서 부족’(39.8%), ‘작문 경험 부족’(38.1%), ‘교육 커리큘럼 상 문제’(5.9%) 등이 있었다.

한편, 전체 기업의 45%는 직원들의 업무 상 국어 능력 향상을 위해 별도로 노력하는 것이 있었다.
구체적으로는보고서/기획안 작성 클래스 운영’(52.1%, 복수응답)이 가장 많았다. 뒤이어서의사소통 코칭 운영’(37.6%), ‘관련 도서 구입 비용 지원’(25.6%), ‘프레젠테이션 클래스 운영’(19.7%), ‘관련 강의 수강 비용 지원’(16.2%) 등을 시행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