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업뉴스

기업 2곳 중 1곳, 채용 시 학벌 본다!

서울소재 4년제 대학 출신 가장 선호




지원자의 출신 학교를 묻지 않는 블라인드 채용이 확산되고 있음에도, 오히려 기업 2곳 중 1곳은 채용 평가 시 학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김용환)이 기업 337개사를 대상으로 좋은 학벌이 채용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에 대해 조사한 결과, 48.1% 좋은 학벌이 채용 평가에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다.

학벌이 채용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로는
지원자가 노력한 성과여서’(51.9%,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학벌에 따른 역량 차이가 있어서’(43.2%), ‘객관성이 있는 조건이어서’(37.7%), ‘기존에 채용 시 만족도가 높아서’(11.7%), ‘활용 가능한 인맥이 많아서’(9.3%) 등을 들었다.

가장 선호하는 지원자의 출신 학교로는 ‘
서울소재 4년제 대학’(45.7%)을 꼽았다. 이어 지방 거점 국립대학’(24.1%), ‘상위 10위권내 명문대학’(19.1%), ‘일명 스카이 대학(서울/연세/고려대)(3.1%)’ 등의 순이었다.

선호하는 학교 출신 지원자에 대해서는 채용 과정 중 ‘
지원자를 더 꼼꼼히 평가한다는 응답이 66.7%(복수응답)로 가장 많았으며, ‘전형 진행 시 우선순위로 선정’(20.4%), ‘가산점 부여’(18.5%) 등의 형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채용 평가 비중에서는 평균 약 32%정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집계됐다.

또, 
이들 기업 10곳 중 2(21%)은 다른 자격조건이 모자라도 학벌이 우수해 채용한 직원이 있다고 밝혔다.
반면, 학벌이 채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답한 기업들(175개사)은 그 이유로 압도적으로 많은 90.9%(복수응답) 업무 능력과 크게 연관이 없어서를 들었다. 이밖에 기존 채용 시 만족도가 낮아서’(10.9%), ‘경영진의 방침이어서’(5.1%), ‘기존 직원들에게 위화감을 줄 수 있어서’(4.6%) 등의 답변이 있었다.

그렇다면, 
일선 기업들은 직원들의 학벌과 업무 능력 간 상관관계를 어떻게 보고 있을까.
전체 기업의 59.3%는 근무 중인 직원들의 학벌과 업무 능력 간 상관관계가 없다고 밝혔으며, 24.6% 학벌이 좋으면 업무 능력도 뛰어나다고 답했다. 16%는 인사관리 프로세스 상 직원들의 학벌을 상세하게 파악하고 있지 않았다.

특히, 
학벌이 채용 평가에 영향을 미친다고 답한 기업의 경우도 상관관계가 있다’(45.7%) 상관관계가 없다’(43.8%)는 비율이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벌이 좋은 신입사원과 그렇지 않은 직원 간 만족도에 대해서는 전체 기업의 62.6% 차이 없다고 답했다. 30% 만족도가 높다고 응답했으며, 7.4% 오히려 만족도가 낮다고 답했다.

한편, 
전체 기업들의 과반수인 55.2%는 과거에 비해 좋은 학벌이 채용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변화가 있는 지를 묻는 질문에 차이가 없다고 답했다. 40.4% 줄었다고 밝혔으며, 4.5% 늘었다고 응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