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게시글 전체 검색 결과
현재까지 등록된 전체 게시글입니다.
전체 1,989
  • 아아 신입은 어디로 가야하오
    난 정말 모르겟다옹
    전문가 답변 "현재까지의 경험(학업을 포함한 교육, 아르바이트 등)을 천천히 돌아보았을 때 조금 더 잘할 수 있는 직무를 선택하는 방법과 다양한 직무를 기준으로 유사성 및 성장성, 진입 장벽 등의 비교를 통해 직무를 선정해 보시면 어떨까요. :) "
    공감 1
    댓글 1 조회 7
    s5eUdKr82ZVtW02님이 오늘 작성
    자세히 보기
  • 국가유공자가 되면 대기업 취업가능한가요???
    24살 경기권 전문대 학점3.3에 전기기능사 하나 보유하고 있고 군대에서 다쳐서 국가유공자 서류검토중입니다만약 국가유공자가 되면 대기업 생산직 들어갈수 있을까요?
    전문가 답변 "국가유공자가 되면 다른 사람들보다 서류 등의 채용 프로세스에서 메리트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확률상 더 유리하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다만, 대기업의 경우 정말 많은 사람이 존재하고 스펙이 매우 뛰어난 사람도, 국가유공자들도 많이 지원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단순히 유공자가 되면 입사 가능하다! 가 아니라 남들보다 조금 수월해진 것이므로 관련 준비를 더 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공감하기 댓글 3 조회 17
    6KboaHS6I9MteWl님이 오늘 작성
    자세히 보기
  • 인정받을 수 있는 경력인지 고민입니다 ㅠㅠ
    회계학과와 복수전공한 4년제 졸업생입니다. 이번에 영업부 면접 보고 온 중소기업이 있는데 업무시간이 길고 그에 비해 연봉이 좀 짠편이긴 합니다. 업무가 매출실적관리, 관련 erp업무, 세금계산서 발행 등인데 제가 경력사항이 전혀 없어 경력 만들고 일을 배울겸 짧게(1-2년) 다녀볼까 생각 중인데 그 이후에 회계업무 계열(경리나 결산,총무)로 이직할때 경력으로 인정이 될까요? ㅠㅡㅠ 회계 관련 자격증 2개 취득한 상태이고 또 다른 자격증도 준비중인데 조언 부탁드립니다
    전문가 답변 "어떤 업무를 하게 될지, 상세한 내용을 모르기도 하고 회사에서 완전 다른 일을 맡을수도 있지만 말씀해주신 것을 보았을 때에는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런데 경력을 만드신다는건 중고신입 이직을 노리시는걸까요? 생각보다 초봉이 중요한데, 경력 이직 시 이전 연봉 기준으로 연봉 책정이 되기 때문이에요. 이를 조금 더 고민하고 결정하시면 도움이 되지않을까 합니다."
    공감 1
    댓글 4 조회 35
    RPNolLa5e7wi5pG님이 오늘 작성
    자세히 보기
  • 1년 회계팀 이직 3번 vs 1년 이직 2번 3년 타부서 이직 1번 어떤게 더 좋은걸까요?
    제목 내용 그대로입니다 제조업 회사이고 입사 후 1년간 회계팀으로 일 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회계팀 새로운 사람을 뽑았다고 하더니 우리 회사에는 회계팀이 두명이나 필요없다 회계도 할 줄 알고 하니까 자재팀으로 들어가서 회계 장부에 최대한 맞게끔 새로운 일을 하라고 부서 강제이동을 당했습니다저는 자재팀 일은 할 생각도 없고 무엇보다 지난 1년중 반년을 매일 아침9시출근 새벽 2시 퇴근을 반복하면서 간신히 시스템 및 체계를 구축해놨더니 이제와서는 새로운 사람 뽑았으니 인수인계하고 아무것도 없는 제로베이스 팀으로 옮겨서 다시 체계랑 시스템을 만들라고 하더군요 심지어 회계관련 업무는 배제하고 이후 회계팀이 일이 바빠지면 다시 회계팀으로 넣어주겠다 라는 말도안되는 소리를 하더군요 너무 어이가 없어서 퇴사를 하고싶은데 이직시장에서 어떤상황이 더 좋을지 구분이 되지 않네요 만약 일을 하게된다면 3년은 버틸 생각입니다 이직 시장에서 보았을때 이직 3번 중 (회계법인 1년, 1년이후 제조업 회계팀 1년)이 더 좋을지 회계팀 (회계법인 1년, 1년 이후 제조업  회계팀1년, 자재팀2년) 이런식으로 있는게 더 좋을지 구분이 잘 되지 않아서 질문드립니다 
    전문가 답변 "보통은 회사에 시스템과 체계가 있을 확률이 높죠. 그렇기 때문에 신규 채용을 할 때에 새로운걸 구축한 경험도 좋지만 보통 있던걸 활용하여 더 효율적인 방법을 고안한 인원에게 가산이 들어가지 않을까 해요. 또한, 업무적으로도 하나를 제대로 한 사람을 더 선호하기도 하구요 아마 저라면 전자 즉 회계팀 경력 위주로 가진 상태에서 이직하고 면접 때에 이직의 확실한 이유(말씀하신 이유는 명확한 이직사유라 생각돼요)를 설명하시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그나저나 나쁜 회사네요... 화이팅입니다."
    공감 1
    댓글 2 조회 20
    MWu1G2d7krG3oSv님이 1일 전
    자세히 보기
  • 합격 후 첫 출근날짜 조율
    안녕하세요. 저는 면접을 보고 오늘 당일(6월 3일) 합격통보 듣고 자리에서 첫 출근 날짜를 6월 12일 수요일로 잡았습니다. 집가서 한시간 뒤 쯤 전화가 왔는데, 2일 뒤인 6월 5일 수요일에 출근해주셔야할 것 같다고 하시더군요. 처음 첫 출근 날짜 정할때도 이 때 출근을 원하셨었는데, 제가 다음주 6월 11일 개인적 사정이 있어 출근을 못한다 해서 6월 12일로 조율했었거든요. 근데 갑자기 전화와서 꼭 6월 5일에 출근하셔야 한다며 그 날은 연차를 땡겨쓰라 하시더라고요 .. 그래서 결론은 최대한 빠른 6월 10일 월요일 출근하고 6월 11일은 연차쓰고 쉬기로 했습니다 .. 제 입장에선 이럴거면 6월 12일에 출근하면 되는게 아닌지 기분이 안좋더라고요 ..  11일에 가족이 대수술을 해서 제가 옆에서 보호자를 해드려야한다 했음에도 굳이 2일차이인데 마음 불편하게 이렇게 출근하는게 맞나 싶습니다 . ㅜㅜ 이 회사를 갈지 말지 고민됩니다 .. 이런 생각하는 제가 이기적인걸까요 ..
    전문가 답변 "회사에서 그렇게까지 일찍 출근하라고 하는 명확한 이유를 설명했나요? 제가 볼 때에는 작성자님은 이미 회사에 출근일 이야기도 마쳤고, 수술 후에 신경쓸 일도 많은데 최대한 빨리 가는걸로 회사에 배려도 충분히 힌신 것 같은데요 이건 지금 회사에서의 배려가 많이 부족하지 않았나 생각이 들어요 다만... 아무래도 이렇게까지 출근일을 땡기는건 어떤 이유가 있어서일테고 처음부터 찍히는건 안좋기는 해보여서 애매하네요. 참 슬프지만 저희는 을 혹은 그보다 아래의 입장이니 회사 요구를 따르는게 타격이 가장 적기는 할것같습니다. 가능하다면 왜 그렇게 일찍 출근하라고 하는지를 여쭤보는것도 좋아보여요."
    공감하기 댓글 1 조회 20
    RHF1zugzdAgKgqv님이 1일 전
    자세히 보기
  • IT 쪽 생각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최근에 IT쪽을 생각하고 있는 대학생입니다. 제가 어쩌다 보니 IT 쪽에 관심이 생겨서 이쪽으로 진출할까 고민 중인데 IT도 여러가지 종류가 있더라고요...코딩은 필수인 것 같고 그 코딩 중에서도 여러가지로 직무가 나뉘어져 있는 것 같은데 어떻게 방향을 잡아가면 좋을지 조언 부탁드립니다!(언어는 C랑 JAVA 하고 있습니다)
    전문가 답변 "IT도 말씀대로 정말 종류가 다양하고 또 각각이 너무 다르기 때문에 어떤걸 해야한다, 는 의미가 없어보입니다. DBA직무는 또 말씀하신 프로그래밍 언어들보다는 SQL위주로 사용하기도 하고 백엔드, 프론트엔드, IOS등 여러 분야가 다른 언어를 쓰기도 하고요 일단은 개인적으로는 접근이 쉽고 테스트가 용이한 것 위주로 처음 흥미를 붙이는게 어떨까 해요 한번 게시판같은걸 백엔드와 프론트엔드 둘을 통해 구축해보고, 재밌는것 위주로 해보거나 앱으로 변경해보면서 재미있거나 잘 할수 있겠다 싶은걸 정해보는건 어떨까요? 그리고 이 과정과 병행해 하나의 언어를 정하고(이는 아무거나 상관없습니다. 파이썬 자바 코틀린 씨 등등..) 이를 활용해 알고리즘 문제 ㅡ 코딩테스트를 준비하시는것도 기초지식에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아요."
    공감하기 댓글 2 조회 21
    EPiOsCWgVRXE134님이 1일 전
    자세히 보기
  • 27살 무경력 공백기 3년 신입 취준생
    사정이 있어 학교가 여려번 바뀌어 최종적으로 지방국립대 일본어과 편입했습니다.(올해 8월 졸업 예정)학점은 3점 중반...경험이라 해봐야 반년 일본 교환학생ㅋㅋㅋ...공백도 꽤 되고 알바도 다 하등 도움이 안되는 카페 같은것만 하고 남들 다 있는 컴활, 토익도 없습니다...(뒤늦게 토익은 공부중인데 머리가 안 돌아갑니다ㅠㅠ) 메이크업 국가자격증, 일본어 자격증은 N1과 900점대를 가지고 있기는 합니다. 웬만한 회화도 가능합니다.사실 스펙이 없어도 너무 없는게 제가 노력을 하지 않은것 뿐이긴 하지만, 사실 어떤 직무를 해야 할 지 감도 오지 않아 무슨 자격증을 따야 할 지도 몰라 공부를 할 엄두도 내지 못한 채로 허송세월만 보낸 것 같아 후회가 됩니다.사실 꿈도 없고... 하고 싶은것도 없습니다.. 사실은 삶에 의지 자체가 없는 것 같기도..ㅋㅋ..그저 월급 안 밀리고 빨리 집에 갈 수 있거나 혼자 집에서 일하는 일을.. 하고 싶다는 막연한 생각(말도 안되는 생각) 만 가지고 있습니다.적성검사를 하면 예술형이라고 나오고 사실상 엄청난 재능이 없으면 생계를 유지하기 힘든 직업만 추천 직업에 나옵니다..ㅋㅋ 예를 들면 무용수, 화가, 가수, 예술가, 작가 등등 (해당 직업 비하 목적 없음)그나마 생각해본것은 뷰티회사 마케팅 직무인데 마케팅 관련 활동이 하나도 없는 제가 취업을 할 수 있을 지 모르겠습니다.(저를 써주는 곳은 일단 일을 해야겠다는 생각은 있습니다..)부모님께선 자꾸 공기업, 공무원을 원하시고.... 전 아예 가능성이 없다고 생각하는데..그리고 사실 지금 취업 자체가(특히 사무직) 너무 무섭고 두렵습니다. 대학 상담센터에서 진행한 상담에서도 제가 사무직에는 안 맞을 것 같다고 하시고...소기업에 간다고 해도 제가 주어진 일을 잘 할 수 있을 지 너무 무섭고 생각만 해도 벌써 주눅이 듭니다.. 이런 기분을 극복하는 방법도 알고 싶습니다.
    전문가 답변 "아무래도 지금 무기력하고 두려운 기분은, 작성자님께서 정확히 하고싶은일이 무엇인지, 그리고 적성이 어떤 것인지에 대한 확신이 없어서라는 생각이 들어요. 다만 이 적성이라는게 꼭 타고난 것이나 성격적으로 잘 맞는 일만을 말하는것은 아닙니다. 처음에는 나에게 맞지 않는다고 생각이 들어도 꾸준히 한다면 적응하고 더 잘 할 수도 있는 것이라서요. 당장은 적성검사에 나온 일 뿐만 아니라, 오래 할 수 있는 일 혹은 다른 것보다 진입장벽이 낮은 일을 먼저 경험해보고 그 중 마음에 드는 일을 찾아보시는건 어떨까요? 의외로 생각지도 못한 곳에서 돌파구를 찾을수도 있으니까요. 화이팅입니다~!"
    공감하기 댓글 1 조회 44
    NKescWjvK7zrO5K님이 1일 전
    자세히 보기
  • 29살 취준생 고민
    안녕하세요! 지금 소방공무원을 준비하고 있는데 필기시험을 치고 실기 시험 이후에 면접을 앞두고 있는데 점수가 부족한거 같아 합격하기 어려울 것으로 봐서 불합격하면 다른 길로 생각하고 있습니다근데 제가 소방공무원 준비 과정에서 공무원 준비에 몰두한다고 4년제 대학교를 중퇴하게 되었고앞으로의 방향은 제 거주지는 대구이고 서울에서 사무직으로 시작하려고 하는데 고졸이면 취업하는 데 지장이 있을까요??일단 자격증은 컴활부터 시작해보려고 합니다! 
    전문가 답변 "안녕하세요. 물류컨설팅 직무 재직 중인 프로 아이워너굿컴퍼니입니다. 공무원 등 여러 시험공부를 오래 하셨던 분들께서 다소 늦은 나이에 취업을 시작하는 것에 두려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남들보다 1~2년 늦는 것이 크게 중요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지금부터라도 처음부터 시작하는 마음으로 한단계씩 자신을 성장시켜가신다면 작성자님의 노력을 알아봐주는 회사가 나타날 것이라 확신합니다. 응원드리겠습니다."
    공감 1
    댓글 1 조회 45
    fGIHsr5XRkehcdc님이 1일 전
    자세히 보기
  • 1년 계약직 다니면서 취준하는게 좋겠죠?
    판매직 2년 반 정도 하다가 장기적으로 봤을때 물경력 보다는 좀 더 안정적인 직무로 바꿔야겠다 생각하고 퇴사를 했는데 이번에 같은 판매직으로 1년 계약직 제안이 들어왔어요 어차피 돈은 벌어야 하니깐.. 계약직 하면서 취준 하는게 나을거 같다고 생각하는데 어떤가요..ㅠ???중국어 전공이다 보니 다른 전문적이거나 스킬도 없어서 자격증 준비와 4년제 학사 취득 등 스펙을 늘리고 있는중이예요우선 컴활 2급, HSK5급 이렇게 있는데 사무,행정 쪽으로 자격증 취득 해볼 생각입니다.취준 시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이나 활동 등 뭐가 있을까요
    전문가 답변 "지금 말씀하신 계약직 업무가 원하는 업무랑은 많이 다른 것이겠죠? 그렇다면 사실상 긴 시간 일하는 아르바이트와 큰 차이가 없을 것 같아요. 작성자님께서는 지금 명확히 어떤 계획이나 진로를 설정하지 않으신 것 같습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오히려 최대한 빠르게 어떤걸 할지를 정하는게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고 조심스럽게 생각합니다."
    공감하기 댓글 2 조회 52
    Nygm34CLjFsAUl7님이 1일 전
    자세히 보기
  • 면접복장
    보통 흰색블라우스(셔츠)+슬랙스 입으시는데 상의 기본 흰색 무지티 입어도 무방한가요??
    전문가 답변 "일단은 회사에서 요청한 사항은 블라우스와 슬랙스같은 비즈니스 캐주얼 복장인 것 같습니다 흰색 무지티보다는 셔츠 혹은 블라우스를 입으시는게 조금 더 나은 선택이 될 것 같아요. 옷이 없다면 그 때에 무지티를 입고, 있다면 비즈니스 캐쥬얼로 입으시는게 어떨까요?"
    공감하기 댓글 2 조회 11
    JZh1nBYQa3EFOm0님이 1일 전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