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철도공사의 기업로고

한국철도공사 기업소개

공유하기

기업개요

  • 업력 20년차 2004년 12월 31일 설립
  • 기업형태: 대기업, 공사/공기업
    기업형태
  • 27,867명 사원수
  • 5조 4,557억 6,420만원 매출액
업종
철도 여객 운송업
대표자명
나희승
홈페이지
http://www.korail.com
기업주소
대전 동구 중앙로 240 지도보기
사업내용
철도 운송
계열사
한국철도공사 (5)
기업비전
주요 사업내용 : 철도여객·화물운송사업 및 연계운송사업, 철도차량의 정비 및 임대사업, 철도역사 및 역세권 개발사업, 철도시설의 유지보수 등 국가 등으로부터 위탁사업
주요 취급품목 : 철도운송, 철도차량정비, 철도차량임대, 선로유지보수수탁

연혁

2010

11
- 오송,김천(구미),신경주,울산역 영업개시/영등포,수원역 정차 등 KTX수혜지역 확대

2010

11
경부고속철도 2단계구간 개통-

2010

09
부산신항 철송장 운영사업자로 선정

2010

09
GLORY중앙회 발대식 개최

2010

09
세계 최초 다지형침목 부설 (충북선 오근장역 부근 50m)

2010

08
청량리역 민자역사 준공 (지하 3층 지상 9층)

2010

07
'철도수송 전환보조금제' 및 '녹색철도 화물 마일리지제' 시행

2010

06
제2기 무인역 명예역장(32개역 37명) 임명식

2010

06
대한민국 기상정보대상(환경부장관상)수상(기상청 주최)

2010

04
철도창설 111주년 기념 철도주요연표 발간

2010

03
KTX-산천(한국형고속열차) 첫 영업개시

2010

02
내외부 공모를 통해 KTX-II의 이름을 KTX-산천으로 최종 결정

2010

02
코레일 홍보대사(로버트 할리, 박상면) 추가 위촉

2010

01
경부선 당정역(군포역과 의왕역 사이) 영업개시

2009

12
중앙선 복선전철 국수-용문 간 연장개통

2009

12
KTX 이용객 2억명 돌파

2009

12
중앙선 용산 ~ 국수 간 자전거 전동열차 운행 시작

2009

12
온실가스 인벤토리 검증 성명서 수여식

2009

11
제1차 세계고속철도워크숍 및 제8차 UIC아시아총회 본사(대전) 개최

2009

09
제110주년 철도의 날 기념식 및 철도공동사옥 입주식

2009

09
공항철도(주) 인수

2009

09
국내 최초 ‘에코레일 자전거열차' 첫 운행

2009

08
'세계1등 국민철도' 비전선포식 및 녹색철도 성장전략 발표 (벽허물기 행사 개최)

2009

07
호남고속철도 착공식

2009

06
코레일 홍보대사(김민종,안정환,김보성) 위촉식

2009

06
제1기 무인역 명예역장(31개역 36명) 임명식

2009

06
간선형 전기동차 '누리로' 첫 영업운행(서울 ~ 온양온천.신창 구간)

2009

04
KTX 개통 5주년 기념 55,555번째 고객 선정 및 축하행사

2009

03
간선형 전기동차(EMU,150km/h) 8편성(32량) 최초 도입

2009

03
제4대 허준영 사장 취임

2009

01
모바일승차권 운영개시

2009

01
중앙선 금장역, 서경주역으로 역명 변경

2008

12
수도권전철 탕정역 신설

2008

12
중앙선 개통 : 팔당 ~ 국수 간 3개역(15.9㎞)(운길산, 양수, 국수역)

2008

12
가야선 사상 ~ 가야 간 복선전철 개통(5.1㎞)

2008

12
장항선 천안 ~ 신창 간 6개역, 19.4㎞ 개통식

2008

12
동해남부선 범일 ~ 부전 간 단선전철 개통(2.5㎞)

2008

12
부전선 가야 ~ 부전 간 복선전철 개통(2.2㎞)

2008

11
철도 100년을 위한 100인 선언 대회 개최

2008

09
대중교통 환승할인(수도권통합요금제) 확대 시행

2008

09
제109주년 철도의 날 기념식 및 학술심포지엄 개최

2008

07
한국철도학회와 공동으로 최초의 열차세미나 개최

2008

06
제3대 강경호 사장 취임

2008

05
제8차 세계철도학술대회(WCRR 2008) 및 UIC정례회의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

2008

05
부패방지시책 종합평가 1위 달성(국민권익위원회 주관)

2008

03
동해중부선 포항 ~ 삼척 간 철도건설사업 기공식

2008

02
신설 군산역 철도CY(16,500㎡) 운영 시작

2008

02
철도연작만화 '해피트레인' 단행본 출간

2008

01
장항선 군산역 신설, 도고온천.대천역 이설

2007

04
KTX 고객 1억명 돌파

2007

02
해외사업 첫 진출 (말레이시아 철도운영컨설팅)

2007

01
KTX와 제주행 선박크루즈 연계통합 이용권 발매

2007

01
국제신용 평가등급 획득(Moody's: A3, S&P: A)

2007

01
경영혁신 ERP 시스템 개통운영

2006

12
중앙선 복선 전철 : 덕소 ~ 팔당

2006

12
철도교통관제센터 출범

2006

12
전철 개통 : 의정부 ~ 소요산

2006

12
광명역 연계셔틀 전철 운행개시

2006

12
경부선철도 전구간 전철화 완료

2006

12
UIC집행위원회 기관으로 선출

2006

12
경원선·중앙선 연장 개통

2006

11
한일 선박(KOBEE)연계통합승차권 판매개시

2006

11
철도경영정상화 방안 확정 발표

2006

10
KTX 1일 이용승객 15만명 돌파

2006

10
제9차 세계철도차량컨퍼런스 개최

2006

10
제1차 아시아철도정상회의 개최

2006

10
제 9차 세계철도차량 컨퍼런스 개최

2006

10
제 1차 아시아철도정상회의 개최

2006

09
공기업 최초로 청렴계약 옴브즈만 제도 시행

2006

08
철도경영정상화 방안 확정 발표

2006

08
공기업 최초로 청렴옴브즈만 제도 시행

2006

07
KORAIL 혁신학교 운영개시

2006

06
경부선 진위역, 지제역 개통

2006

06
동해선 남측구간(제진-남방한계선) 열차 시험운행 실시

2006

05
철도교통 통합관제센터 출범

2006

04
KTX 개통 2주년

2006

04
철도운영과 건설 분리 (철도산업의 기본법)

2006

03
남.북.러 철도운영에 관한 의장성명 채택

2006

03
공기업 투명사회협약실천협의회 의장기관 선정

2005

12
중앙선 전철 운행 개시 : 청량리 ~ 덕소

2005

12
KTX 이용승객 5천만명 돌파

2005

12
와인트레인 영업개시

2005

12
스키관광열차 영업개시 : 서울 ~ 고한/부산 ~ 고한

2005

11
Korail-Outreach 봉사팀 발족

2005

11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선정

2005

11
Eurail Speed 2005 참가 및 한국관 운영

2005

10
제14차 CCTST 서울총회 개최

2005

10
e-Ticket 서비스 시행

2005

09
관광레저 특급열차 개조(Lady Bird) 완료 및 영업개시

2005

08
전자계약 우수기관 선정

2005

08
KTX 특송서비스 개시

2005

06
2대 이철 사장 취임

2005

05
경영혁신 ERP 사업착수

2005

03
윤리헌장 선포

2005

01
상호 변경 : 한국철도공사

2004

12
한국형 고속철 광명 ~ 서대전간 시험운행 성공(350km돌파)

2004

11
분당선 보정역 영업개시

2004

09
분당선 구룡선 영업개시

2004

08
전라선 개량 2단계 사업 준공

2004

07
신교통카드시스템 도입(수도권전철 118개역)

2004

04
공용주파수방식(TRS)의 열차무선시스템 도입(고속신선)

2004

04
KTX 개통(부산-.서울행 제74열차 오전 5시 5분 첫 출발)

2004

04
고속철도 시대 개막

2004

03
호남선 복선 전철 준공

2004

02
경춘선 신남역 역명 변경(김유정역)

2004

01
고양고속철도차량정비창 현판식

2004

01
고속철도 서울역사 준공식

2003

12
고속철도 오송 시설사무소 및 전기사무소 개소

2003

11
서울고속철도 기관차승무사무소 개소

2003

09
분당선 복선 전철 개통 : 선릉 ~ 수서

2003

08
철도 '안전운행다짐' 결의 대회

2003

08
고속철도 시운전 : 서울 ~ 대전

2003

08
동해남부선 부산-울산 간 복선 전철 기공식

2003

04
경부선 2복선 전철 개통 : 수원 ~ 병점

2003

01
KORAIL CI선포

2002

12
'철도회관' 준공

2002

09
남북간 '경의선 및 동해선 철도,도로 연결 착공식'

2002

09
철도 (경의선 및 동해선) 연결 착공

2002

05
어린이 홈페이지 ‘키즈코레일(http://kids.korail.go.kr)’ 오픈

2002

04
경의선 도라산역 개통과 함께 열차운행

2002

03
경인선 2복선 전철 개통 : 부평 ~ 주안간

2002

02
호남선 전철화 전담조직 '철도청 전철건설사업소' 개소

2001

12
호남선 복선철도 개통 : 송정리 ~ 임성리

2001

11
경인선 도화역 영업 개시

2001

09
경의선 최종착역 임진강역 신설열차 운행

2001

09
철도 기관명칭 새로 변경(보선사무소->시설관리사무소 등)

2001

08
광주도심철도 (효천~서광주~송정리) 11km 이설 준공

2001

08
경인선 백운역사 영업개시

2001

07
호남선 전철화 사업 (대전~논산 신도안 구간) 조기 착공

2001

07
철도 관련 법령 데이터베이스 구축 홈페이지 공개

2001

05
익산보선사무소 신설

2001

04
새마을호(5호차 1~30호석) 어린이 동반객차 운영

2001

03
철도회원 '승차권 대금 인터넷 결재' 및 '바로티켓팅' 서비스 실시

2001

03
외국어(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 안내방송 무궁화호 확대 실시

2001

02
'철도고객센터' 개관

2000

11
경부.호남선 2개 노선 새마을호 열차에서 안동 간고등어 등 지역특산품 시범판매

2000

11
비둘기호 열차 마지막 운행(정선선 : 증선 ~ 구절리)

2000

09
철도서비스아카데미 개관

2000

02
경춘선 열차운행횟수 증설 (노후 통일호 열차 -> 도시통근형 통일호 교체 등)

2000

02
경춘선 열차운행 전면 개정

2000

02
새마을.무궁화호 일부 객실 휴대폰 사용 금지한 ‘조용한 객실’ 지정

1999

12
신용카드 기차표 예약 실시(일본식 철도용어, 어려운 한자 등 쉬운 우리말로 개정)

1999

09
한국철도 100주년 '철도의 날' 기념식

1999

07
'복합수송열차(CarRail)' 첫 운행 : 성북 ~ 강릉

1999

05
전라선 개량 1단계 개통 : 신리~임실/금지~압록/구례구~동순천

1999

03
철도고객봉사실 원스톱 민원체제 구축

1999

01
경인2복선전철 1단계 개통 : 구로 ~ 부평간(14.9km)

1998

12
서울~부산간 디지털 광통신망 개통(155Mbps)

1998

12
환상선 눈꽃 순환열차 첫 운행

1998

10
철도운임조정 및 서비스 개선

1998

09
새마을호열차 특실 '깨우미(Train Call) 서비스' 도입

1998

07
철도청 정부대전청사 시대 개막, 서울 청사 퇴청식 거행

1998

07
철도청 대전청사 이전

1998

07
화차회송료 수수제도 폐지

1998

04
고객중심 경영혁신 기획단 현판식

1998

01
신길역, 독산역 영업개시

1997

11
동대구-청천간 철도 이설공사 기공식

1997

10
경원선 복선전철 건설 기공식

1997

06
경원,교외선 통근형 통일호 열차 운행

1997

04
철도박물관, 서울역관 개관

1997

02
영동선 전철 개통

1996

04
경의선 행신역(간이역)엽업개시

1996

03
경인선 부개역(보통역)영업개시

1996

03
역무자동화설비(RF) 개통(수도권전철 95개역)

1996

02
철도청 심볼마크 변경

1995

12
광주 도심철도개량사업 기공식

1995

12
국유철도운영에관한 특례법 지정

1995

11
국유철도의 운영에 관한 특례법 제정 : 철도 및 지하철 운임 요금 조정

1995

05
철도청 구내 자동착신전화(DID) 운용개시

1995

03
분당선 선릉~수서간 6.6km 착공

1995

03
성북역 남부역(선상역) 영업개시

1995

02
경인선 구일역 준공, 영업개시

1994

12
경부고속철도 운영준비단 설치

1994

11
기적소리 봉사센터 및 국민제안창구 설치 운영개시

1994

10
대구, 광주에 전기사무소 신설

1994

09
분당선 전철 개통 : 수서~오리(18.5km)

1994

08
서울교외선에 주말 증기기관차 관광열차운행

1994

08
P.C통신 이용 철도정보 안내 서비스 개시

1994

07
한국 철도산업기술 연구원 발족

1994

05
철도공사 설립준비단 발족

1994

03
군포전철변전소 준공식 거행

1994

01
안산선공단역 영업개시

1993

12
서울역문화관 개관

1993

12
무궁화호. 통일호. 비둘기호열차 전 정차역 집표생략

1993

10
열차내 이동무선 공중전화 설치 운용

1993

01
과천선 부분 개통 : 금정~인덕원

1992

08
신연무대역 준공

1992

07
경부선 전구간 CTC 개통 : 서울~부산

1992

06
경부고속전철 기공

1992

03
철도 남부화물 기지내 개칭 : 오봉역 -> 의왕역

1991

11
경인선 소사역 및 부개역 기공식

1991

11
장항선 새마을호 열차운행

1991

11
경인복복선 기공식 및 영등포 구로간 3복선 개통식(부평역)

1991

05
경인복복선 기공식 및 영등포 구로간 3복선 개통식(부평역)

1991

03
지축~일산간 21.1km 일산선 복선전철 기공식

1990

03
태백선 새마을호 운행

1990

02
분당선 32.2km 착공

1990

01
태백선(청령포~영월간 3.2km) 철도이설공사 착공

1989

12
서울~부산간 광통신망 개통(6.312Mbps)

1989

12
철도공사화 추진

1989

12
사당-금정 15.7km 과천선 기공식

1989

11
익산-여수 199.3km 선로 개량공사기공식

1989

10
고속전철 국제심포지움 개최(~22)

1989

09
승차권 전화예약제 실시(철도회원 카드 가입자 대상)

1989

03
경인2복선전철 1단계 개통(구로-부평간,14.9km)

1988

12
중앙선 CTC 전철 개통 : 제천 ~ 철암

1988

10
안산선 개통 : 금정 ~ 안산

1988

09
서울역 민자역사 역무 시설 업무 개시

1988

09
호남선 복선 개통 : 장성 ~ 송정리

1988

07
호남선 복선 개통 : 장성 ~ 송정리

1988

01
철도박물관 개관

1986

10
역무자동화설비(MS) 개통 (수도권전철 52개역)

1986

09
경원선 복선 전철 개통 : 성북 ~ 의정부

1986

07
최신 유선형 새마을호 2왕복 운행 : 서울 ~ 부산

1985

11
호남선 복선 개통 : 익산 ~ 정읍

1983

12
대전공작창 준공

1981

12
경수 복복선 전철 개통 : 영등포 ~ 수원

1981

10
새마을호 승차권 전산 발매

1980

10
충북선 복선 개통 : 조치원 ~ 봉양

1978

12
경원선 전동차운행 개시 : 용산 ~ 성북

1978

03
호남선 복선 개통 : 대전 ~ 익산 (88.6km)

1977

01
수도권 CTC완공 Micro-Wave 무선통신망(2.5GHz주파수대) 개통

1975

12
영동선 전철 개통 : 철암 ~ 북평

1974

08
태백선 전철 개통 : 제천 ~ 고한

1974

08
수도권 전철 개통 : 서울 ~ 인천/구로 ~ 수원

1974

08
경부선 새마을호 운행

1974

06
태백선 전철 개통 : 제천 ~ 고한

1973

10
고한선 개통 : 고한 ~ 황지

1973

06
중앙선 전철 개통 : 청량리 ~ 제천

1972

03
최초 전기기관차 66대 도입

1971

09
철도청 컴퓨터도입 가동

1969

05
경부선, 호남선 열차 무선시스템 개통(150MHz대, 단일주파 단신 공간파방식)

1969

02
경부선에 특급(관광호) 운행

1968

02
경전선 개통 : 진주 ~ 광양

1967

08
증기기관차를 디젤기관차로 대체

1967

08
서울역 홈에서 증기기관차 종운식 거행

1966

11
경북선 개통 : 영주 ~ 예천

1966

01
정선선 개통 : 예미 ~ 고한

1965

09
경인선 복선 개통 : 영등포 ~ 주안

1963

09
교통부 외청으로 철도청 발족

1963

08
서울교외선 능의선 개통: 능곡 ~ 의정

1961

12
자동식교환기(DDD방식) 개통(서울,대전,부산,순천,묵호,안동 6개 전국지방철도국소재)

1955

12
영암선 전통 : 영주 ~ 철암

1948

08
정부수립으로 교통부로 개편

1946

05
경부선 구간에 특별급행 1,2열차 「조선해방자」호를 운행

1946

01
교통국을 미군정청 운수부로 개편

1943

02
철도국을 교통국으로 개편

1942

04
중앙선 개통 : 청량리 ~ 경주

1939

07
경춘선 개통 : 성동 ~ 춘천

1936

12
전라선 개통 : 익산 ~ 여수

1931

08
장항선 개통 : 천안 ~ 장항

1929

12
충북선 개통 : 조치원 ~ 충주

1925

10
서울역사 신축

1914

08
경원선 개통 : 용산 ~ 원산

1914

01
호남선 개통 : 대전 ~ 목포

1906

07
통감부 철도관리국 설치

1906

04
경부선 개통 : 용산(서울) ~ 신의주

1905

01
경부선 개통 : 서울 ~ 초량(부산)

1900

07
서울역 영업개시

1900

07
한강교량 준공

1899

09
경인선(노량진 ~ 제물포) 33.2km 개통

1899

09
철도청 설립

1899

09
궁내부 내장원에 서북철도국 설치
출처 : NICE평가정보

사업부문 및 직원구성

직원 수

출처 : 국민연금

복리후생

  • 직원들의 열정에 보답하고 싶습니다.
    상여금, 우수사원포상, 퇴직금, 4대 보험
  • 직원들의 자기계발을 존중합니다!
    사내동호회 운영

한국철도공사에서
언제 직원이 필요한지 궁금하세요?

지금 관심기업 등록하고 한국철도공사의 채용공고 알림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