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
“C” 관련 이야기를 공유하는 방입니다
전체 5
  • c# 공정 자동화 신입 해외파견 관련 질문 있습니다.
    국비교육으로 java를 배우고 취준생이 되었습니다.오늘 면접을 보고왔는데 연봉 2800에 해외파견 또는 국내 파견시에 숙소 제공하고해외파견시는 숙소, 차 렌트, 식비 일부 지원이라는 조건으로 들을 때는 굉장히 좋은 조건이었습니다.그런데 공정자동화다보니 C#을 사용하게 될텐데제가 찾아본 바에 따르면 자바와 다르지만 또 비슷한 점이 많아 넘어가서 적응하는 것에는 크게 걱정되는 부분은 없습니다.제가 걱정하는 부분은 해외 파견시 몇달씩 있다가 돌아오는 부분인데신입으로 들어가서 업무를 할 줄 알게되면 거의 바로 해외파견을 나갈 수도 있다고 하셔서이게 자주 있는 일인지도 잘 모르겠고 C#이나 공정자동화 관련된 일 하시는 분이 주변에 없어서 물어볼 곳이 없어서 질문 남깁니다.질문을 정리하자면1. 공정자동화 신입(~1년차)이 파견을 나가는 경우가 많은가요?2. 해외파견을 자주(길게) 나가는 업무인데 비전공 감안해도 2800 적정선이 맞나요?일단은 이 두 가지가 궁금한데 혹시 이 쪽으로 일하시는 분들 보시면 두 질문 외에도 고려해야 할 사항이라던지 조언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공감 1
    댓글 1 조회 465
    p0gdYxNILSfoX7S님이 2023.01.13 작성
    자세히 보기
  • 스마트팩토리 자동화 설비 제어쪽 종사자분들 질문드립니다
    모집공고를 보면 PLC제어는 경력있는 분들이 많아서 그분들을 이길자신이 없습니다.. 해서 PC제어쪽 C#을 공부하려고 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공감하기 댓글 2 조회 742
    rf11D2f44BDnNrh님이 2022.05.02 작성
    자세히 보기
  • 개발자 업종 변경 질문드립니다
    현재자동화 설비 프로그래머로 일하고 있는 사회 초년생입니다현재 충남 지방으로 취직을 해서 연 3000 중반 정도 받으면서 일하구 있는데요이 쪽 업계가 야근이 너무 심해서 워라벨을 넘어서 잠이 부족할 지경입니다(퇴근이 12시에요…)그래서 강남 쪽 게임개발 회사로 업종을 변경 할겸 이직을 하려 하는데몇가지 고민거리가 있어서요현재 사용중인 언어가C#, mfc인데 유니티를 배워야 게임쪽으로 진출을 하더라구요그치만 일단 경력은 있어야 한다고 판단해서 1년 정도 다니고 이직하려 하는데지금 이직이 맞을까요? 업종이 달라도 1년은 채우는게 맞을까요?그리고 같은 c#이라도 유니티랑은 조금 다른가요?
    공감 2
    댓글달기 조회 513
    PRgkS2qu9LVL8RX님이 2022.01.21 작성
    자세히 보기
  • C#을 주로 쓰는 업종이 뭐가 있을가요?
    대학생때부터 C계열을 좋아하고 전역 후 취업을 하게되어 운이 좋아 취업하게되었습니다분야는 자동화설비 분야로 입사해서 초봉이 3300이라는 적지 않은 금액으로 재직중입니다.회사에서 주는 돈은 포괄임금제다 보니 많이 없지만 출장이 잦아 그걸로 은근히 많이 받더군요하지만 단점이 프러젝트에 들어가면 워라벨이 사라지고제가 원래 경기지역에 거주하지만 타지로 왔습니다..1년차를 채우고ㅠ이직을 알아보려 하지만 C#을 쓰는 업종이 뭐가 있을까요?웹 개발은 자바가 주로 이루고 어플이랑 게임 클라이언트 개발을 하고 싶었는데 이쪽이 유디티가 C#이라 들었는데 따로 공부하면 이직이 가능할까요??
    공감 1
    댓글 3 조회 806
    PRgkS2qu9LVL8RX님이 2022.01.18 작성
    자세히 보기
  • @앱개발,Windows,WPF
    개발직군 월급 궁금합니다.
    개발직군 월급에 대해 궁금합니다.
    만 6년, 7년차 개발자입니다.
    개발 언어는 Winform, WPF했고 DB는 Oracle, MSSQL을 했습니다.
    기존에 병원(진료지원) 업무를 하다 Xray 이미지프로세싱 업무로 전향했는데 월급에 대해 제가 어느정도 받고 있는지 궁금해 글 작성합니다.

    지금 4000 기본급에 포괄연봉이 아니며 연장수당(시급×1.5), 출장수당, 연차수당이 있습니다. 그래서 월 평균 세후 290~420의 편차가 존재합니다.(연장 시간에 따라 상이, 290은 연장 안했을 경우의 월급, 420은 월 52시간 연장 경우의 월급)
    출퇴근 거리는 편도 15~30분이고, 고정지출은 교통비만 입니다.(식사제공)

    제가 궁금한건 2가지 입니다.

    1. 개발직군에 대해 연장수당, 출장수당을 받는 회사에 다니시는 분들이 많으신지 궁금합니다.
    2. 제 월급이 평균인지 궁금합니다
    공감 1
    댓글 37 조회 916
    w8drcWP4QsQlDDD님이 2021.11.15 작성
    자세히 보기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