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업뉴스

“워킹맘·대디 86%, 코로나19로 일과 육아 병행 부담 심화!”

10명 중 6, 코로나로 돌봄 공백 겪어!
https://pds.saramin.co.kr/promotion/0330workingchildcare.png

코로나 19로 유치원 휴원이 잦아지고, 초중고 원격수업이 길어지지면서 일과 육아를 병행하는 워킹맘·대디의 부담감이 더 커지고 있다. 실제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김용환)일과 육아를 병행하는 직장인 361명을 대상으로코로나 시대의 일과 육아 병행에 대해 조사한 결과, 86.1%가 부담이 심화됐다고 답했다.

부담감이 심화된 이유로는휴원과 원격수업이 장기화 되어서’(55.9%,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다음으로온라인 수업으로 인해 학습 지도가 어려워서’(32.5%), ‘갑작스러운 돌봄 공백이 잦아져서’(32.2%), ‘돌봄을 위한 연차 사용 등으로 회사에 눈치가 보여서’(29.9%), ‘아이 돌보미를 구하기 어려워져서’(25.1%) 등의 순으로, 코로나 19로 인한 돌봄 공백이 잦아진 것이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
.

그렇다면, 얼마나 많은 워킹맘·대디들은 돌봄 공백을 경험하고, 이를 어떻게 대처하고 있을까
?
워킹맘·대디 10명 중 6(62.9%)코로나로 인해 돌봄 공백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

돌봄 공백에 대한 대응으로 가장 많은 58.6%(복수응답)연차 사용을 꼽았다
.

, 실제 돌봄 공백을 경험한 응답자 중 81.1%가 코로나19 이후 돌봄을 위한 연차 사용이 늘었다고 답해, 주로 개인 연차 소진을 통해 공백을 메우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외에도부모님 등 가족 돌봄 지원’(45.4%), ‘가족돌봄휴가 사용’(19.8%), ‘재택근무’(15.4%), ‘시차출퇴근제 등 유연근무 활용’(13.2%), ‘아이 돌보미 고용’(11%) 등의 방안도 있었다
.  

돌봄 공백으로 퇴사를 고민한 응답자들도 적지 않았다. 돌봄 공백을 겪은 응답자 중 60.8%퇴사를 고민한 적 있다고 답한 것. 이는 여성 응답자가 73.1%로 남성 응답자(47.2%)보다 2배 가량 더 많았다
.

퇴사를 고민한 이유는아이를 돌봐줄 사람이 없어서’(62.3%,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다. 계속해서잦은 돌봄 공백으로 스트레스가 심해서’(32.6%), ‘잦은 연차 사용으로 회사에서 눈치를 줘서’(30.4%), ‘코로나로 유치원, 학교에 보내는 게 부담스러워서’(26.8%), ‘온라인 수업 등 달라진 환경에 아이가 힘들어해서’(25.4%) 등을 이유로 들었다
.  

한편, 전체 응답자들은 코로나19시대에 워킹맘·대디가 일과 육아를 병행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으로시차출퇴근제 등 유연근무제 시행’(27.4%) 1위로 꼽았고, ‘일과 육아 양립을 지원하는 사내 분위기’(25.8%)가 바로 뒤를 이었다. 이외에도가족돌봄비 지원’(12.2%), ‘육아휴직 확대’(10%), ‘가족돌봄휴가 확대’(8.9%), ‘사내 돌봄시설 확충’(7.8%) 등의 의견 이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