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업뉴스

“여성 임금근로자 10명 중 4명은 1년 미만 계약직”

여성 채용이 증가세에 있음에도, 근로자 중 계약직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 고용 안정성은 여전히 남성보다 떨어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www.saramin.co.kr)이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를 토대로 ‘2017년 임금근로자 수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

 

전체 임금근로자 수는 1,993 4천명으로 2년 전인 2015(1,940 2천명)보다 2.7% 증가했다.

 

 
성별로 보면, 남성 임금근로자수(20151,0982천명→20171,1171천명)1.7% 늘어났고, 여성 임금근로자(2015842만명→20178763천명)4.1% 상승해 여성의 상승폭이 남성보다 2.4배 더 높았다.

 

그러나 여성 임금근로자 중 고용계약기간이 1개월 이상∼1년 미만인 임시근로자(3003천명) 1개월 미만인 일용근로자(565천명)는 총 356 8천명으로 전체의 40.7%를 차지했다. , 여성 근로자 10명 중 4명은 고용안정성이 낮은 일자리에 종사하고 있는 셈이다.

 

반면 남성 임금근로자 가운데 임시근로자(1989천명)와 일용근로자(95만명)가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 26.3%에 불과해 여성보다 고용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행스러운 것은 임시근로자와 일용근로자 비율이 줄어들고 있다는 점

 

2015년과 비교하면, 임시근로자와 일용근로자의 수는 2.7% 감소했다. 지난 해 새 정부의 비정규직 근로자 정규직 전환 등 근로자의 고용안정을 위한 정책 강화와 기업들의 동참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성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2015년 대비 지난해 여성 임시근로자는 34천명, 일용근로자는 71천명이 줄어 총 2.9% 감소했다. 남성 임시근로자는 2015년 대비 2017년에 88천명이 줄었지만 일용근로자의 경우 14천명이 소폭 증가해 총 2.5%의 감소세를 보였다.

 

사람인의 임민욱 팀장은여성의 활발한 사회진출로 여성 고용의 양적인 면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나, 비정규직 비율은 현저히 높아 남성에 비해 고용 안정성이 낮은 것이 현실이다. 특히, 출산과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 후 재취업 시 비정규직으로 입사하는 비중이 높다.”라며 한참 열심히 일할 나이에 경력 단절로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이후에도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일자리로 복귀하기 어려운 현재 구조가 개선되어야 여성 일자리의 질적 향상뿐 아니라 기업 및 국가 경쟁력도 강화될 수 있는 만큼 일가정 양립을 위한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정책 지원과 사회적인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라고 덧붙였다.

 

이전 글이 없습니다.

다음 글이 없습니다.

목록